반응형
SMALL

CS공부 5

[Java] Queue 사용법 (add/offer, remove/poll/clear, element/peek)

📌 Queue 선언 방법 Queue queue = new LinkedList(); 📌 Queue에 값 추가하기 queue.add(n); queue.offer(n); add() queue 맨 뒤에 값을 삽입 queue가 꽉 차서 추가할 수 없는 경우에는 에러 출력 offer() queue 맨 뒤에 값을 삽입 📌 Queue에서 값 제거하기 queue.remove(); queue.poll(); queue.clear(); remove() queue 맨 앞의 값을 제거 queue가 비어 있어서 제거할 수 없는 경우에는 에러 출력 poll() queue 맨 앞의 값을 제거 queue가 비어 있으면 null 출력 clear() queue 비우기 📌 Queue의 맨 앞 값 확인하기 queue.element(); que..

CS공부/Java 2023.06.24

[컴퓨터 구조] 인코딩과 디코딩, 문자 표현 방식

📌 인코딩 문자를 0과 1로 변환하는 과정 📌 디코딩 0과 1로 이루어진 문자 코드를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문자로 변환하는 과정 📌 인코딩 문자 집합 종류 아스키 코드 영어 알파벳, 아라비아 숫자, 일부 특수 문자 포함 문자를 각각 7비트로 표현 총 128개의 문자 표현 가능 EUC-KR 한글 인코딩 방식에는 한글 완성형 인코딩 (ex '가'→1, '나'→2 , ...) / 한글 조합형 인코딩 (초성, 중성, 종성에 각각 코드 부여) 두 가지가 있음 EUC-KR은 한글 완성형 인코딩 방식 한글 한 글자는 2바이트 즉, 16비트 필요 → 네 자리 16진수로 표현 가능 총 2350개 한글 단어 표현 가능 쀍, 쀓, 믜 같은 글자는 표현 불가 CP949 📌 통일된 표준 인코딩 방식의 문자 집합 유니코드 한글..

[컴퓨터 구조] 컴퓨터 구조 기본 지식

📌 컴퓨터란 ? 컴퓨터는 명령어를 처리하는 기계다 📌 컴퓨터가 이해하는 정보 2가지 데이터 : 정적인 정보 명령어 : 데이터를 움직이고 컴퓨터를 작동시키는 정보 📌 컴퓨터의 4가지 핵심 부품 CPU (중앙처리장치)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읽어 들이고, 읽어 들인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 ALU (산술논리연산장치) : 계산 담당 레지스터 : 임시 저장 장치 제어장치 : 메모리 읽기 / 쓰기 제어 신호를 내보내고 명령어 해석 제어장치에서 메모리 읽기를 통해 명령어 읽어옴 -> 읽어온 명령어를 레지스터에 저장 -> 명령어에 계산이 있으면 ALU가 연산 수행 -> 계산된 값을 레지스터에 저장 -> 제어장치에서 메모리 쓰기를 통해 계산 결과 저장 메모리 (주기억장치) 현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

[Java] 접근 제한자 (Public, Protected, Private, Default의 차이점)

스프링 공부하면서 public, private은 많이 쓰는데 정확하게 개념 한 번 정리해두려고 글을 쓴다.. 📌 접근 제한자란? -> 객체 멤버에 대한 접근을 제한할 때 사용하는 것 📌 왜 제한하는데? -> 멤버는 객체 자신만의 속성이자 특징임. 따라서, 외부에 공개하는 것이 항상 좋은 것은 아님 📌 접근 제한자의 종류는? Public : 모든 접근 허용 Protected : 같은 패키지의 객체, 상속 관계의 객체 허용 Private : 현재의 객체 안에서만 허용 Default : 같은 패키지의 객체 허용

CS공부/Java 2023.06.18

[디자인 패턴] 디자인 패턴이란?

책 읽으며 공부하는 습관도 좋다고 생각되어서 아이패드에 교보문고 전자도서관 앱을 설치했다. 무료로 책을 대여해서 볼 수 있어 너무 좋다! 특히 나같은 대학생들에게 너무 좋은 것 같다. 지식을 정리하는 습관을 어떻게 쌓아야하나 크게 3가지 방법을 고민했다. 지금처럼 티스토리 기술 블로그에 정리하기, 깃허브 레포에 정리하기(새로운 방법이라 도전해보고 싶은 마음이 크다), 노션에 정리하기(포트폴리오에 공부 흔적 링크를 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냥 다방면으로 해보려고 한다. 길을 잘 모르겠어서! ㅎㅎ 디자인 패턴이란? 디자인 패턴이란 프로그램을 설계할 때 발생했던 문제점들을 객체 간의 상호 관계 등을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도록 하나의 '규약' 형태로 만들어 놓은 것이다. 즉, 이전에 발생했던 문제점들이 ..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