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MALL

프로젝트/Spring 4

[Spring 스프링] 에러 기록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UnsatisfiedDependency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XXX'

회사에서 코드를 디버깅하는데 갑자기 오류가 났다.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UnsatisfiedDependency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XXX' Controller에서 Bean을 생성할 수 없다고 뜨기에, controller 단의 문제라고 생각했던 것이 큰 오산이었다. (Controller에서 Bean 오류가 난다면 보통 Servlet 문제다. *참고) 나는 mybatis xml 파일에 문법적 오류가 있었다. 해당 에러를 해결한 다른 분들의 블로그를 보고 xml 파일을 잠시 지워보았는데 바로 실행이 됐다 ㅠㅠ 만약 해당 오류가 뜬다면 xml 파일을 확인해보길! 쿼리문에 오류가 있거나 DB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어제..

프로젝트/Spring 2023.03.15

[Spring 스프링] Spring MVC(Model, View, Controller)

Spring MVC란? Spring에서 제공하는 웹 모듈로, MVC란 각각이 Model, View, Controller인 것이다. Model: View에 출력할 데이터를 담아두는 구성요소 View: 말 그대로 화면에 보여지는 것에 집중한 구성요소 Controller: 받은 요청에 맞게 비즈니스 로직을 실행하여 반환해주는 구성요소 Model과 View는 서로의 존재를 모른다. Controller가 그 사이에서 변경을 감지하고 해결해주는 역할. Spring MVC 구조는 크게 DispatcherServlet(Front Controller), Handler(Controller), ModelAndView, ViewResolver 4가지로 나뉜다. DispatcherServlet(Front Controller):..

프로젝트/Spring 2023.01.09

[Spring 스프링] 정적 컨텐츠(static content)

요 근래 3~4일 간 spring 공부를 거의 하지 않았다 ㅠㅠ 개발을 하면서 느끼지 못했지만 기술 면접을 준비해보며 느낀 것은... 기초가 굉장히 중요하다는 것! 나는 개발만 하면 될 줄 알겠지라는 안일한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반성해! 그래서, 반성할 겸 간단히 기초만 휘리릭 복습하고 넘어가는 글을 몇 개 업로드할 예정... 정적 컨텐츠(static content)란? 말 그대로 static이다. 변하지 않는 템플릿 웹 브라우저의 URL 요청을 받고 내장 서버 톰캣이 스프링 컨테이너에 우선적으로 요청을 넘겨주어, 일치하는 컨트롤러가 있는지 찾게 된다. 현재는 hello-static과 mapping 된 컨트롤러가 없는 상황. 따라서 resources 패키지로 이동해 static 내부의 hello-sta..

프로젝트/Spring 2023.01.08

[Spring 스프링] Thymeleaf(타임리프)란?

start.spring.io에서 새로운 스프링 프로젝트를 실행할 때면 이유도 잘 모른 채 Thymeleaf dependency를 종종 추가해주곤 하였는데 실제로 타임리프를 이용해서 html파일을 제작해 MVC로 프로젝트를 제작해본 적도 없다. 방학을 맞이해서 스프링의 기초를 다시 다지고 있는데 그동안 무지했던 부분들을 하나씩 기록해가며 공부해볼까 한다. 나는 앞으로도 타임리프를 사용할 일이 많지는 않을거라 생각하기에 간단히 개념만 짚고 넘어갈 것이다. Thymeleaf(타임리프)란? Thymeleaf는 템플릿 엔진의 일종으로 보통 뷰 템플릿이라고도 많이 부른다. JSP(Java Server Page)처럼 html 문법에 th 속성을 추가해 값을 동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Thymeleaf 공식 사이트 h..

프로젝트/Spring 2023.01.03
반응형
LIST